일반적인 블로그 시험 후기 - 원광대, 대전대, 세명대 5. 일상 6. 드리고 싶은 말씀 1. 서론 안녕하세요. 이번 25학년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일반편입에 최초 합격해 합격 수기를 작성하게 됐습니다. 제가 부족함이 많고, 훨씬 뛰어나신 합격자분들도 계시지만, 이전에 합격하신 분들의 합격 수기를 비롯해 의편사를 통해 여러... 2025-03-07 20:12:00
WHAT ARE YOU DOING NOW 경희대 구내서점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안 것 있죠? 지금 5학년인데 하하호호 가서 갖고싶었던 쿠웅이 인형을 바라보다가 그렇다면 쿠웅이 스티커를 살까 또 바라보다가. 아무튼 제 자신과 원만한 합의를 하고 (?) 그냥 나왔어요! 졸업전에 쿠웅이 인형 하나 가질 수 있겠죠 뭐 ~ 건물시스템 수업 들으며 설계하기... 2023-12-01 18:28:00
고잔 에듀플렉스 에듀코치 행사 후기 지난 7월말경 당 고잔 에듀플렉스의 여름 방학 정례 이벤트의 하나인 '명문대 탐방 행사'가 기획되어 있었으나 온라인 정기 견학 신청이 조기에 마감된 관계로 차질을 빚었다. 다행히 8월 중순 연세대 신촌 캠퍼스 신청이 용인되어 부득이 한달간 미루어졌던 '명문대 탐방 행사'가 2학기 개학 직후인 지난주... 2024-08-28 23:27:00
생활정보공유 남원로 534번길 26 , 원주북새통문구서점 033-764-6760 문화 도서 대학서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흥업면 흥업리 63-4 033-766-0610 문화 도서 연세대의과대구내서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산동 162 033-746-7370 문화 도서 대한교육개발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단구동1515-3 원주축협 남부지점 2층 033-762-5704... 2023-11-24 00:30:12
로지마 역에서 연세대까지 25분대에 주파하기도 한다는데(목숨 걸고 시험보러 가는 건가), 그래도 가까운 거리는 아닌데. 물론 나는 아침에 더럽게 못 일어나는 인간이고 내가 연로생이었어도 아침에 광역버스 타고 마두역까지 갈 자신은 없어서 그냥 숙소 잡았다. 엄마가 먼저 그러자고 하셨는데 왠지 본인이 더 가고 싶어하신... 2020-02-23 01:14:15
betterdays 오랜만에 구내식당🍽️ 너무 맛있어서 떵개떵 #드가자 <<< 상태 됨 박지영과 아리스토텔레스 스터디카페에서~ 겨울 플레이리스트도 야무지게 들어줌 중간고사 끝이다~ 야호~ 이 날은 거연이와 야구보러 간 날! 마지막 경기를 보러 갔었음 너무너무 재밌었다😽 나의 도플갱어 선수님 왜 저 선수분이 나의 도플갱어냐면… 어느... 2023-03-11 00:21:00
사탐하는 한의대생 학기에서 교양 수업을 하나 듣기로 했다. 실점수 100점과 평점 4.5, 즉 A+ 연세대의 "현대사회의 법과 권리", 이화여대의 "시민생활과 법"과 같은 법학 관련...법률 이야기" 강좌를 찾아볼 수 있었다. 수업용 교재 표지, 대구가톨릭대학 구내서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 강좌명은 '영화 속' 인권과 법률 이야기인데... 2023-01-09 15:14:00
자닮 세무회계 세금연구소 [송대권 세무사의 자료실] 인터넷 서점 홈페이지"이나,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등의 "대학 도서관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이 故김용섭 교수님의 "김용섭 저작집"의 서지사항...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32559) 조선후기농업사연구 1 이 책의 출간은 해방이후 우리 역사학계의 당면 과제였던 `식민... 2023-01-10 17:01:00
천재 명탐정's 이런저런 공간 캠퍼스인데요 의과대 모아놓은 연건캠퍼스도 따로 있다고 합니다. 관악캠퍼스의 스케일은 - 총면적 125만평 -건물자체적인 총면적 43만평 (용인에버랜드와 비슷한 크기) -건물수 총 206채(매년 변한다 합니다) -구내식당 23개 -규장각이 있음 -5500여명을 수용하는 기숙사 대략 이렇다고 합니다...ㄷ 제설자재보관함에도... 2015-02-23 20:38:00
민사회 서울대와 연세대 등 한국어 대학들입니다. 3등은 교토대학이지만 아쉽게도 지금 교토대 언어학전공에 한국어학을 전공하는 교수는 없습니다. 대학 축제의 모습...대학원 지역문화연구과는 우선 박사전기과정(소위 석사과정)과 박사후기과정(소위 박사과정)으로 나뉩니다. 전기는 최소한 2년, 후기는 최소한 3년 공부... 2006-05-30 17:48:00